• 티스토리 홈
  • 프로필사진
    alpha brain
  • 방명록
  • 공지사항
  • 태그
  • 블로그 관리
  • 글 작성
alpha brain
  • 프로필사진
    alpha brain
    • 분류 전체보기 (93)
      • SOFTWARE DEVELOP (68)
        • REACT.JS (3)
        • WEBPACK (4)
        • HTML&CSS (2)
        • EXPRESS (0)
        • DATABASE (0)
        • NODE.JS (3)
        • JAVASCRIPT (24)
        • DOCKER (1)
        • Linux (3)
        • Git (6)
        • GRAPHQL (0)
        • Datastructure (7)
        • Development (6)
        • HTTP (1)
        • Programming Paradigm (1)
        • Algorithm log (5)
        • DEV log (1)
        • Project log (0)
        • I don't know yet (1)
      • 경제, 재무 (23)
      • 여행 (0)
      • 시사, 상식 (2)
  • 반응형
    250x250
  • 방문자 수
    • 전체:
    • 오늘:
    • 어제:
  • 최근 댓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최근 공지
        등록된 공지가 없습니다.
      # Home
      # 공지사항
      #
      # 태그
      # 검색결과
      # 방명록
      • [Git] github를 이용해서 오픈소스 내 컴퓨터로 가져오기
        2020년 01월 16일
        • alpha brain
        • 작성자
        • 2020.01.16.:01
        728x90
        반응형

        이 포스팅에서는 github , git을 이용해서 내 컴퓨터로 프로젝트로 가져오는 실습위주로 진행하려 한다.

        git, github는 그 원리 보다는 사용법이 더 중요하다 판단하여 이런 방식으로 진행하려 한다.

         


         

        순서는 이러하다. (git은 이미 설치가 되어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하겠다.)

        1. github 가입하기
        2. github에서 오픈소스 검색하기 
        3. 검색한 오픈소스에서 fork하여 내 github계정으로 가져오기(fork)
        4. 내 계정으로 가져온 프로젝트를 내 컴퓨터로 가져오기(clone)

        1.  github 가입하기

        2. 오픈소스 검색하기 

        왼쪽 상단을 보면 검색창이 있다. 여기서 검색하면된다.

        나는 tetris라고 검색을 해보았다.

         

        결과가 약 3만개 정도 나온다.

        제일 위에 있는 리액트 테트리스 프로젝트를 가져와보자.

        클릭하면 이런 모습이 보인다. 중앙에는 소스코드가 있다.

        cf.) 다른 사람의 프로젝트를 볼때는 README.md 를 꼭 보기 바란다.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지만 README.md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들어있기 때문에 꼭 확인해야하는 문서이다.


         

        이 코드들을 컴퓨터가 실행시키면 프로그램이 되는거다. (그럼 내 컴퓨터로 가져오면 되겠네!)

        그 전에 한가지 더 할일이 있다. 바로 내 계정으로 저 프로젝트를 가져오는 작업이다.

        3. 검색한 오픈소스에서 fork하여 내 github계정으로 가져오기(fork)

        오른쪽 위를 보면 fork라는 버튼이 있다.

        이 버튼을 누르고, 어느 user로 fork할지를 결정하면 내 계정으로 저 프로젝트가 넘어온다.( 참쉽죠? )

        어디에 fork할지를 결정하면 

        내 계정으로 해당 소스 코드가 넘어온것을 볼수가 있다.

        다 왔다. 마지막단계인 내 컴퓨터로 이 소스코드를 보내는 작업만 해주면된다.

        가장 쉬운 방법은 오른쪽에 보이는 녹색버튼(Clone or download) 누르고 zip파일로 다운로드 받는 법이다.

        하지만 훗날 더 많은 기능을 사용하려면 다운로드 받는것 보다는

        clone을 이용하여 내 컴퓨터로 가져오는것이 200배 정도(그 이상이려나) 더 좋다.

        4. 내 계정으로 가져온 프로젝트를 내 컴퓨터로 가져오기(clone)

        Clone or download 버튼을 누르면 Clone을 위한 url이 보인다. 이 url을 복사하자(focus 된 부분을 누르면 복사된다.)

        터미널을 실행하고 해당 프로젝트를 가져올 폴더를 만든후 [git clone 복사한 url] 을 적어주면 내 컴퓨터로 오게 된다.

        windowOS에서도 폴더 이동 후 동일한 git 명령어를 적어주면 Mac OS에서 작동하는것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나는 test/openSource 라는 폴더에 github에 있는 프로젝트를 가져올 예정이다. 

        cf. 터미널 명령어 사용법은 Linux 카테고리에서 설명할 예정


        최저가로 구매하기


        git clone '해당 url'을 실행시켜주면

        복제를 하고 얼마간 시간이 지난후 완료가 된다.

        내 컴퓨터에 잘 왔는지 확인해 보자.

        vscode로 해당 폴더를 열어보면,

        폴더구조, 소스코드가 온전히 내 컴퓨터에 온것을 볼수가 있다. 

        맘껏 수정해보고 실행도 해보고 이 부분은 뭔지 , 어떤 역할을 하는지 맘껏 뜯어보자.


         

        내가 짠 코드가 아닌 남이짠 코드를 보면서 이 사람은 어떤식으로 코드를 짜는지 어떤 패턴을 사용하는지 볼수가 있다. 꼭 오픈소스에 기여하지 않더라도 코드를 공부하기에는 이 방법이 최고라고 생각이 된다. 

        다음포스팅에는 git 명령어 사용법에 대하여 하나씩 설명해야겠다.


         

        tetris-react 실행화면

        따봉.

        728x90
        반응형

        'SOFTWARE DEVELOP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what is Branch? , what is head? , what is master?  (0) 2020.02.20
        [Git] local repository와 remote repository의 연결, 그리고 갱신  (0) 2020.02.03
        [Git] Staging Area, Commit  (0) 2020.01.23
        [Git] 오픈소스 시작하기(프롤로그)  (0) 2020.01.16
        [Git] Working Directory, Repository  (0) 2020.01.16
        다음글
        다음 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댓글
      조회된 결과가 없습니다.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목차
      표시할 목차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 감사해요
        • 잘있어요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