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Linux] what is Linux? why use Linux?alpha brainLinux리눅스는 운영체제다. 우리가 대표적으로 알고있는 windows os 나 mac os 처럼 단지 운영체제중 하나일 뿐이다.리눅스보다는 운영체제가 무슨 일을 하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os를 이용해서 문서를 쓰고, 파일도 만들고, 인터넷에 연결해서 여러 정보들을 보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게임도 하고,때에 따라서는 서버로도 사용을 한다. 리눅스도 별반 다를게 없다.단지 리눅스의 큰 장점이라면 오픈소스인것, 이것이 너무나도 큰 장점이다. 전세계의 개발자들이 리눅스의 버그나 보안취약등을 빠른시간에 수정 배포하기 때문이다.torvalds/linuxLinux kernel source tree. Contribute to torvalds/linux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
- 2020-01-14 23:26:52
- [Javascript] 배열(Array)의 요소(element)조작 , 배열 메서드(method)alpha brain배열은 객체의 한 종류다. 따라서 배열은 프로퍼티(property)과 메서드(method)를 가지고 있다. 배열이 가지고 있는 메서드는 대부분이 배열 내부의 요소(element)를 조작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내부가 궁금하다.. 자바스크립트가 가진 함수중에 console.dir() 이라는 함수가 있다. 이 함수는 Console.dir() The Console method dir() displays an interactive list of the properties of the specified JavaScript object. developer.mozilla.org object 내부의 프로퍼티를 보여주는 함수다. 사용을 해보면, 내부에 수많은 매서드들이 있는것을 알수가 있다. 배열 메서드는 그 대부..
- 2020-01-12 16:01:23
- [Javascript] Object(기본,리터럴)alpha brain객체(object)는 관련된 데이터와 함수(일반적으로 여러 데이터와 함수로 이루어지는데, 객체 안에 있을 때는 보통 프로퍼티(proprty)와 메소드(method)라고 부름)의 집합이다. 1. 선언 curly bracket({})사이에 데이터들의 집합(프로퍼티와 메소드) 를 작성해주면 된다. (리터럴(literal)로 선언한다고 한다.) 2. 작성 사용은 괄호안에 key값과 value값의 pair로 작성을 해주면 사용할수가 있다. obj = { name : "lee", age : 20, city : ["seoul","busan"], isMarried : false, greeting : function(){ console.log("hello!"); } } // name, age, city, isMarrie..
- 2020-01-12 15:32:05
- [Javascript] 인자(argument)와 매개변수(parameter)alpha brain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우면서, 나는 함수를 배울때 이 용어가 가장 햇갈렸다. 배울때는 같은말이라고 배웠지만, 엄밀히 말해서 같은말일까? function myFunction(input){ // input is parameter let something = input + 10; return something; } myFunction(10) // 10 is argument 매개변수(parameter)는 말 그대로 외부에서 받는값에 대한 전달자이다. 전달 받은 값으로 함수블럭 내부에서 작성된 코드를 진행하게 된다. 인자(argument)는 외부값 그 자체를 말한다. 얼핏보면 같은 의미로 볼수 있겠지만 필자는 용어의 구분을 좀 할 필요가 있을것 같아서 포스팅을 작성해 본다. 함수의 입장에서볼것이냐 , 아니면 호출자..
- 2020-01-12 14:38:10
- [Javascript] 연산자와 boolean Typealpha brain프로그래밍에서의 비교연산자는 일반 수학에서 사용하는 연산자와 거의 비슷하다(한 80%는 같을거같다.) a > b a >= b a 10 && b > 15){ // run if a is more than 10 and b is more than 15... } 이외에 부정연산자 ! 역시 그 결과값이 boolean으로 평가되고, 어떤 함수의 결과값이 boolean으로 나온다던지, 어떤 변수의 값이 boolean type이 된다면 모두 논리곱의 명제로 사용할수가 있다. 자바스크립트는 그 값이 truthy 한 값들과 falsy 한 값들이 있다. (그 값 자체로 bool값으로 평가되는 것이다.) 참 JavaScript에서, 참 같은 값(Truthy)인 값이란 불리언을 기대하는 문맥에서 true로 평가되는 값입니다. 따..
- 2020-01-11 16:12:25
- [Javascript] 배열(Array)alpha brain배열은 순서가 있는 값의 집합이다. 각 값은 요소(element)라고 한다. 1. 표현 표현은 대괄호([]) 안에 콤마로 값들을 구분해 주면 된다. 2. 배열의 일반적인특징 배열의 순서는 숫자 type을 사용하는데, index라고 한다. index의 시작은 0부터 시작한다. 모든 배열에는 요소가 몇 개 있는지 나타내는 length(길이)라는 프로퍼티가 있다. 프로퍼티? 프로퍼티는 객체에 한 구성요소인데... 그렇다 배열도 객체의 한 종류이다. 그렇다면 메소드도 있겠네? 객체의 프로퍼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객체(여기서는 arr).(점)property(여기서는 length) 로 사용이 가능하다 (dot notation) 3.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의 차이점 자바스트립트에서의 배열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
- 2020-01-11 15:16:39
- [Javascript] 함수alpha brain1.함수 수학에서의 함수와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하면 좋을것 같다. f(x+10) = y ---> f 에 x 를 집어넣으면(input )y가 나온다.(output) 프로그래밍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작성된다. function f([input, input2, ...]){ const output = input + 10; return output; } input이 오면 그 값에 10을 더해주고 내보낸다. (return) function f2(input){ const output = input + 10; } 프로그래밍에서는 return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해당 함수는 함수 밖에서 output을 이용한 값을 사용할수가 없다. 이 부분이 수학에서의 함수와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생각한다. 2.함수의 사용(실행) 프로..
- 2020-01-10 18:04:57
- [Javascript] 변수와 값(타입)alpha brain1.변수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변수는 숫자, 문자와 같은 값들을 저장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선언 프로그래밍 언어는 변수를 선언하지 않으면 표현할수가 없다. 변수의 선언은 let과 const를 이용한다. var라는 변수 선언도 있지만 요즘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나중에 scope를 설명할때 조금 설명하겠다. let은 변수안의 값이 변할수 있지만 const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안의 값이 변할수 없다. const는 선언할 때 값을 할당하지 않으면 에러가 난다. 2.값 그리고 타입 프로그래밍에서의 값은 수학적 의미의 값과 비슷하다. (하나의 글자나 식이 취하는 수. 또는 그런 수치.‘2x=6’에서 x의 값은 3이다. 여기서는 수 (number type)만 쓰는것이다.)) 반면 자바스크립트는 수만 쓰는것이 아닌 여..
- 2020-01-07 19:48:16
- [NodeJS] Module Systemalpha brain각 모듈에서 모듈의 자유변수는 현재 모듈을 나타내는 객체에 대한 참조다. 모듈은 실제로 전역 모듈이 아니라 각 모듈에 로컬 모듈이다.(이것이 각 파일마다 모듈화가 될수 있는 이유이다.) module 객체에 어떤 변수가 있는지 알아보자. module.children module.exports module.filename module.id module.loaded module.parent module.paths module.required 이 변수들이 현재 모듈(작성하고있는 file)을 나타내는 객체에 대한 참조를 가지고 있다. console.log(moduls) 를 해보면, 모듈객체가 가지고있는 정보가 현재 작성중인 file에 대한 내용임을 알 수 있다. 이중에서 주목해야할것은 exports propert..
- 2019-08-05 22:55:19
- [webpack] 공식문서 공부하기 (4).1.Entryalpha brain웹팩의 엔트리 포인트를 설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1. 단일 진입점 module.exports = { entry: "src/b.js" } // or module.exports = { entry:["src/b.js","src/c.js"] } 진입점이 2개가 되어도 상관없다 저 2개의 파일을 합쳐서 번들로 만들어준다. a.js 파일은 변수 2개를 사용하고 그것을 export하고 있다. b.js는 a.js의 변수를 사용하고 c라는 변수를 만들어 export하고 있다. a.js -> b.js b.js -> c.js (여기서는 간단한 예제이지만 실무에서는 무수히 많은 파일이 이런 관계에 있을것이다.) 실행을 하게되면, 번들링된 파일을 html에 load시켜보면 , console에 찍히는것을 볼 수 있다. ..
- 2019-08-04 15:23:33
728x90
반응형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